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자격 조건 알아보기
사회 초년생들의 경우 이제 막 사회생활에 적응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또한 자산이 많지 않아 거주 환경을 선택할 때 여러 제약속에서 선택할 수 밖에 없으며, 전세금 같이 큰 목돈을 마련하기가 어렵습니다.
2030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주거안정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통합 및 출근이 쉬운 대중교통 중심 역세권의 주택을 시세대비 저렴한 임차료로 공급하는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통학 및 출근이 용이한 역세권에 청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교통이 편리하고 역에 집이 가까워서 역 주변의 집값은 생각하는 것보다 비교적 높은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서울시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청년들의 주거 수요가 높은 곳에 양질의 공공 및 민간 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역세권 청년주택입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조건
- 만 19세~39세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입주대상자
- 차량 미운행자 및 미소유자
- 사업대상 지역 거주민 우선공급(선순위 부여)
입주 대상자의 경우 입주자 모집 공고일 기준 만 19~39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어야 하며,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의 혜택을 부여하기 때문에 본인의 차량이 없어야 합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소득 및 자산기준
공공임대주택,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특별공급)의 경우 소득 기준이 적용되며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일반공급)은 별도 기준이 없습니다.
-소득기준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3인이하)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자 (신혼부부는 120% 이하)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 6,030,160원 이하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120% : 7,236,192원 이하
-자산기준
✔ 청년 : 225,400만원 이하
✔ 신혼부부 : 2억 9,200만원 이하
※ 소득/ 자산가액 기준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 대상지 조건
- 철도, 도시철도 (예정지) 2개 이상 교차 역세권
- 버스 전용차로가 있는 역세권
- 25m 이상 도로에 위치한 역세권
🏡 역세권 청년주택 혜택
- 주변 시세의 30~95% 가격으로 공급
- 임대보증금 최대 4,500만원까지 지원
역세권 청년주택의 경우 가장 큰 혜택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주변 시세대비 저렴한 임대 비용과 보증금의 지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 역세권의 경우 많은 사람들의 수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나 역 주변에는 다른 지역보다 보증금과 월세가 굉장히 높습니다.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은 이러한 비용 부담을 절약하기 위해 민간과 공공이 협심하여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기 때문에 주변 시세 대비 30~95%의 가격이 책정됩니다.
또한 임대보증금의 경우 무이자로 지원되어 목돈마련이 어려운 사회 초년생 청년들이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증금 지원의 경우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방법
인터넷 청약 시스템에서 진행이 되며 일정은 회차, 모집공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신청전 해당되는 역세권 주택의 공고문을 예의주시하며 지켜봐야 합니다.
※ 임대차 계약 체결후 계약서 및 구비서류 지참후 입주개시(예정)일 10일전까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청신호주택부 방문 신청(콜센터 1600-3456)
🏡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현황 및 계획
확정된 일자가 아닌 예정일 일 뿐이므로 실제 모집시에는 계획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참고하여야 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지역의 공급 물량을 체크해 보고 모집 공고일이 가까워 졌을때 공고문을 자세하게 읽어 준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역세권 청년주택 청약절차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식 홈페이지(http://youth2030.co.kr/user/home.do)를 통해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자격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관심있는 지역의 공고문을 잘 확인하였다가 신청하여 꼭 혜택 받을 수 있길 바랍니다.
또한 이외에도 각종 주거 안정 지원 정책을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으니 주거에 대한 고민이나 관심이 있다면 꼭 확인하여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청약 당첨후 포기 하면 생기는 문제들 (3) | 2021.08.05 |
---|---|
주택담보대출 LTV DTI DSR 개념 정리하기 (0) | 2021.08.04 |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하기 (0) | 2021.07.05 |
행복주택 입주조건 소득기준 알아보고 2분기 신청하기 (0) | 2021.07.02 |
주택담보대출 40년 만기 출시 고정금리에 한도 확대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