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전세 월세 어떤걸 택해야 될까? 장단점 알아보기

전세 월세 어떤걸 택해야 좋을까? 장단점 알아보기

 

  내집 마련전에 아직까지 자산이 부족하여, 혹은 다른 이유 (회사위치, 독립, 자취 등)로 전세나 월세를 생각해본적 있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이렇게 전세와 월세중에 고민하고 있을 분들을 위해 전세와 월세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집을 알아보는 중에 전세냐 월세냐에 대해 생각해본 적 많으실 겁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보증금이 충분치 않아 고민하게 되는 부분인데요.  전세와 월세의 장/단점 비교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 하시기를 바랍니다. 

I made a thumbnail for free in website "www.forcre.co.kr"

1. 전세 

일정한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임대차 기간동안 주택을 사용하다가 계약 만료시 다시 보증금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입니다. 

장점  

- 처음 큰 목돈인 보증금만 지불하면 나중에 관리비만 따로 부과되며 고정지출에 대한 부담이 낮습니다.

- 전세 계약 기간이 종료될 경우 보증금을 다 돌려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은행에서 목돈을 대출하여 은행에 이자를 주는 것이 임대인에게 매월 줘야 하는 월세보다 저렴합니다.

단점

-  보증금을 지불할때, 큰 목돈이 필요하며, 지역에 따라 금액이 천차 만별이라 보증금에 대한 부담이 있습니다.

- 큰 목돈이 묶이게 된다는 점이며, 전세 사기를 당할 경우 큰 돈을 잃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추가로 더 살고자 할 경우 집값이 오르면서 전세 보증금도 상승될 수 있는 부담이 있습니다. 

- 매물이 적어 비싼 편이며 깡통전세의 위험이 있습니다.  

*계약갱신청구권

2021.08.18 - [부동산] - 계약갱신청구권 거부 및 행사방법 확인하기_임대차 3법

 

계약갱신청구권 거부 및 행사방법 확인하기_임대차 3법

계약갱신청구권 거부 및 행사방법 확인하기_임대차 3법 요며칠 임대차 3법에 대해 공유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을 공부하다 보면 법률도 바뀌고, 규제들이 생기는 일이 비일비재 합니다. 이제

omma.tistory.com

2. 월세 

전세 보증금 보다 적은 보증금을 맡기고 매월 단위로 임대인에게 세를 지불하는 것으로 전세에 비해 큰 목돈이 들어가지 않는 방식입니다. 

장점

- 전세에 비해 보증금이 낮은 편이라 초기에 큰 목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전세보증금으로 들어갈 큰 비용을 다른 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단기간 거주시 계약기간이 긴 전세보다 유리합니다. 

- 소득조건이 되면 월세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단점

- 보증금, 관리비 이외에도 매달 납부해야 하는 고정월세가 있어 매달 나가는 돈에 대한 부담이 큽니다.

- 일부 오피스텔의 경우 상황에 따라 부가가치세 10%가 따로 붙을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3. 전세 VS 월세 나의 선택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목돈(금액)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장기간 거주하면서 어느정도 목돈을 가지고 있다면 전세를, 당장에 큰 돈은 없지만 집을 구해 단기간 거주하는 경우에는 월세를 선택하여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전세라는 것도 있는데 전세금의 일부를 맡기고, 그 외 금액을 매월 나눠 월세로 납부하는 방식으로 전세와 월세가 결합 되었다고 보면 좋습니다. 높은 보증금 대신 저렴한 월세가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자신의 현재 가계상황에 맞게 결정하시는것이 좋습니다.  

4. 전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 전세 계약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가입하여 전세계약 만료시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 보증금을 못받는 경우) 상황을 대비해 놓으시는게 좋습니다. 이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제도는 전세 계약 종료시 임대인이 전세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는 제도로 계약 기간 종료 6개월 전까지도 가입이 가능한 제도이니 꼭 체크하셔야 겠습니다. 

- 월세 계약시 보증금과 월세가 저렴하다고 해서 다른 금액을 체크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습니다. 간혹 임대인이 세입자를 빨리 구하기 위해 월세를 싸게 내 놓고 별도로 관리비 등의 금액을 비싸가 요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계약 전 월세와 별도의 관리비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개인마다 거주하는 기간, 목돈 등의 조건이 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어떤것이 좋다라고 말하기 보단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월세, 전세로 모두 살아봤는데 그때마다 상황이 다 달랐다는 점입니다.  

전세와 월세 장단점 비교해 보시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올바른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